‘ESG는 곧 지나갈 유행인가?’
‘수익성 있는 사업을 위한ESG는 무엇일까?’
이제 이 질문의 해답을 임팩트 투자에서 찾고자 합니다.임팩트 투자는 기후변화,팬데믹 등으로 관심이 높아진 인류의 지속가능성과 사회 안전망에 관련해, 이를 위협하는 투자처는 배제하며 동시에 수익성을 추구합니다.따라서 새로운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사회적 흐름에 부합하는투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에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는 사회를 이롭게 만드는 비즈니스를 찾고 이에 투자하여 직간접적으로ESG가치창출을 도모하는 전략과 사례 등을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소셜벤처의 투자 가치를 제대로 측정해 임팩트 투자에 성공하는 방법과 대기업의ESG활동 및 임팩트 투자 전략 모두 공개합니다.위드코로나 시대의ESG전략과 지속 가능한 투자처를 고민하시는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1. ESG와 소셜벤처 임팩트투자,어떻게 하면 될까?
- 소셜벤처와의 협력적ESG창출 전략
-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소셜벤처 투자 및 협업 유의사항
- 지속가능ESG투자를 위한 사회성과 측정 방법
2.기업의ESG전략,임팩트투자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흐름, 그리고ESG
- 기업의ESG혁신의 새로운 가능성, 임팩트투자
- 국내 사례 분석: SK의 임팩트투자
- 해외 사례 분석: 파타고니아의 틴쉐드벤처
- ESG혁신을 위한 올바른 임팩트투자 접근방법
- 기업의ESG혁신의 미래
이호영 전 십시일밥 대표,현 임팩트사이언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
現한양대학교 임팩트사이언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대학 재학 시절 소셜벤처 십시일밥을 창업해 운영하였다.이후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소셜벤처 운영,임팩트 측정 등에 대해 공부를 한 뒤,임팩트사이언스연구센터에서 기업/공공기관/벤처캐피탈 등의 사회성과 측정 및 평가 컨설팅을 하고 있다.
서진석SK텔레콤ESG혁신그룹 팀장
現SK텔레콤ESG혁신그룹 팀장
SK그룹에서2005년부터CSR관련 업무를 해오고 있으며,이노소셜랩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저서로<착한 기업을 넘어, <넥스트CSR,파타고니아(공저), <행동주의 기업등이 있다.블로그‘beyond CSR’을 운영 중이다.